본문 바로가기

Etc168

[Algorithm] 시간 복잡도과 Big-O 표기법, Greedy 시간 복잡도Big - O 입력값의 변화에 따라 연산을 실행할 때, 연산 횟수에 비해 시간이 얼마만큼 걸리는가?  효율적인 알고리즘이란 입력값이 커짐에 따라 증가하는 시간의 비율을 최소화한 알고리즘을 말한다. 최선의 경우만 생각하여 로직을 작성하는 것보다, 최악의 경우를 고려해야 문제에 쉽게 대비할 수 있다!Big-O(빅-오): 시간 복잡도가 최악의 경우Big-Ω(빅-오메가): 최선의 경우Big-θ(빅-세타): 중간(평균)의 경우 🌿 O(1) constant complexity입력값이 증가해도 시간이 늘어나지 않는다.예) 정수를 입력하면 그에 해당하는 인덱스의 배열 요소를 반환하는 메서드 🌿 O(n) linear complexity입력값이 따라 시간도 같은 비율로 증가한다. O(2n), O(3n)이어도.. 2022. 7. 28.
[Day 36] [코딩 테스트 준비] 의사 코드, 시간 복잡도, Greedy 학습 주제 의사코드(pseudocode) 시간복잡도(Time Complexity) Greedy implementation - Simulation - Brute-Force Algorithm - Binary Search Algorithm 새롭게 배운 내용 2022.07.28 - [Etc/Algorithm] - 의사 코드, 시간 복잡도, Greedy 의사 코드, 시간 복잡도, Greedy 의사 코드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언어로 논리 흐름을 작성하자! 1. 시간 단축 가능: 헤매는 시간이 단축된다 2. 디버깅 용이: 에러가 발생했을 때, 로직 흐름 파익이 cookiee.tistory.com 2022.07.28 - [Etc/Algorithm] - Implementation - Simul.. 2022. 7. 28.
[Day 35] [자료구조 / 알고리즘] Tree, Graph, Binary Search Tree, Search Algorithm 문제 풀이 학습 주제 트리 및 그래프의 탐색 기법 자료구조를 활용하여 알고리즘 문제에 접근 새롭게 배운 내용 2022.07.26 - [Etc/Algorithm] - 자료구조 - Tree, Graph, Binary Search Tree, Search Algorithm 자료구조 - Tree, Graph, Binary Search Tree, Search Algorithm Tree, Graph 트리 및 그래프의 탐색 기법에 대해 이해 - Binary Search Tree - BFS와 DFS 자료구조를 활용하여 알고리즘 문제에 접근 Tree 단방향 그래프의 계층적 비선형 구조 데이터가 바로 아래에 있는 하 cookiee.tistory.com 🧑‍💻 선배적 참견 시점 1. 깃 마스터 하기 커밋 메시지도 예쁘게 https://.. 2022. 7. 27.
[Algorithm] Tree와 Graph | 이진 트리와 이진 탐색 트리(BST: Binary Search Tree) Tree단방향 그래프로, 계층형 비선형(하나의 데이터 뒤에 여러 데이터가 연결) 구조이다. 루트(Root)를 시작으로 데이터인 노드(Node)들을 서로 간선(edge)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무방향이다. 상하 계층 구조로, 부모 노드와 자식 노드가 있다. Graph여러 개의 점들이 거미줄처럼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는 관계이다. 하나의 점을 정점(vertex)이라고 하고, 하나의 선을 간선(edge)이라고 한다. 🍇 인접 행렬서로 다른 정점들이 인접한 상태인지를 표시한 행렬로, 2차원 배열의 형태로 나타낸다.graph = [ [0, 1, 1, 1], [0, 0, 1, 0], [0, 0, 0, 0], [0, 0, 1, 0]]0번째 노드와 1번째 노드가 연결되어 있다면 0행 1행에 1을.. 2022. 7. 26.
[Day 34] [자료구조 / 알고리즘] Tree, Graph, Binary Search Tree, Search Algorithm 학습 주제 Stack, Queue Tree, Graph 트리 및 그래프의 탐색 기법에 대해 이해 - Binary Search Tree - BFS와 DFS 자료구조를 활용하여 알고리즘 문제에 접근 새롭게 배운 내용 2022.07.26 - [Etc/Algorithm] - 자료구조 - Tree, Graph, Binary Search Tree, Search Algorithm 자료구조 - Tree, Graph, Binary Search Tree, Search Algorithm Tree, Graph 트리 및 그래프의 탐색 기법에 대해 이해 - Binary Search Tree - BFS와 DFS 자료구조를 활용하여 알고리즘 문제에 접근 Tree 단방향 그래프의 계층적 비선형 구조 데이터가 바로 아래에 있는 하 co.. 2022. 7. 26.
[Day 33] [자료구조 / 알고리즘] Stack / Queue 학습 주제 Stack / Queue 새롭게 배운 내용 2022.07.24 - [Etc/Algorithm] - 자료구조 - Stack / Queue 🤷‍♀️ UnsupportedOperationException 에러 Arrays.asList(...)로 생성한 arrayList는 java.util.ArrayList가 아니라 Arrays의 이너 클래스이다 그래서 List의 메서드들을 사용 시 에러가 날 수 있다 List box = Arrays.asList(boxes); List box = new ArrayList(Arrays.asList(boxes)); 보강할 내용 Stack과 Queue을 활용한 다른 문제들 풀어 보기 회고 Stack과 Queue에 대해 학습하는 날이다. 주말에 미리 개념들을 살피고 코플릿에.. 2022. 7.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