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tc/Algorithm

정렬 알고리즘

by 달의 조각 2022. 6. 25.
이 글은 동빈나 님의 실전 알고리즘 강좌를 들으며 정리한 글입니다.

 

선택 정렬

 

 

아무렇게나 놓인 데이터 중 가장 작은 데이터의 위치를 가장 앞에 있는 데이터 위치와 바꾼다. 이미 원소를 넣을 자리는 선택되어 있고 이 자리에 놓일 데이터를 찾는다.

  1. 정렬되지 않은 데이터 중 최솟값을 찾는다.
  2. 이 최솟값과 첫 번째 자리에 있는 데이터의 위치를 서로 바꾼다.
  3. 위 작업을 계속 반복한다.

 

시간 복잡도
O(n²)

반복 10 + 9 + 8 + ... + 1 : 등차수열
10 * (10 + 1) / 2 = 55
N * (N + 1) / 2 : 컴퓨터에서 N에 엄청 큰 수라는 가정 하에 나누거나 더하는 연산은 의미가 없다
 N * N

비효율적인 알고리즘 중 하나이다

void selectionSort(int[] arr) {

    int min, temp;
    
    for (int i = 0; i < arr.length - 1; i++) { // 마지막 원소는 정렬할 필요가 없다
        min = i;

        for (int j = i + 1; j < arr.length; j++)
            if (arr[j] < arr[min]) // 지정 자리의 수보다 작은 값을 찾으면 자리를 바꾼다
                min = j;
        
        temp = arr[min];
        arr[min] = arr[i];
        arr[i] = temp;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rr));
}

 


 

버블 정렬

 

 

옆에 있는 값과 비교해서 더 적은 값을 앞으로 보낸다. 1회전이 완료될 때마다 우측에 정렬된 수가 쌓인다.

  1. 첫 번째 값과 두 번째 값을 비교해서 앞으로 보내고, 두 번째 값과 세 번째 값과 비교해서 정렬하는 것을 반복한다.
  2. 전체 한 번의 반복이 끝나게 되면 가장 큰 수가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3. 다음 전체 반복에서는 가장 우측에 있는 숫자를 제외하여 반복하도록 한다.

 

시간 복잡도
O(n²)

자리를 바꾸는 코드가 계속 반복되어서 선택 정렬과 시간 복잡도는 같지만 더 느리다. 가장 비효율적인 알고리즘이다.

void bubbleSort(int[] arr) {

    int temp = 0;
    
    for(int i = 0; i < arr.length; i++) {
        for(int j = 1; j < arr.length - i; j++) {
        
            if(arr[j-1] > arr[j]) {
                temp = arr[j-1];
                arr[j-1] = arr[j];
                arr[j] = temp;
            }
        }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rr));
}

 


 

삽입 정렬

 

 

이미 정렬된 앞의 숫자들을 보고 적절한 위치를 찾는다.
_ 1 _ 10 _ 에서 5가 들어갈 위치: 1과 10은 정렬되어 있어서 10이랑만 위치를 바꾸면 된다.

7의 경우, 9 앞까지 한 번만 위치 변경이 일어난다

 

시간 복잡도
O(n²)

선택, 버블 정렬과 복잡도는 같지만 연산이 가장 적게 일어나기 때문에 두 알고리즘보다 효율적이다. 거의 정렬된 상태일 수록 효율적인 알고리즘이다.

void insertionSort(int[] arr) {

   for(int i = 1 ; i < arr.length ; i++){
   
      int temp = arr[i];
      int pre = i - 1;
      
      while((pre >= 0) && (arr[pre] > temp)) { // 이전 인덱스가 더 큰 수일 때
         arr[pre + 1] = arr[pre];
         pre--;
      }
      
      arr[pre + 1] = temp;
   }
   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rr));
}

 


 

퀵 정렬

 

 

대표적인 분할 정복 알고리즘이다

특정한 값을 기준으로 큰 숫자와 작은 숫자를 나눈다 → 피벗(Pivot): 기준값

  1. 가장 앞에 있는 숫자를 피벗값으로 설정한다. → 3, 5, 7, 1, 2
  2. 왼쪽(5)부터는 3보다 큰 숫자를, 오른쪽(2)부터는 3보다 작은 숫자를 찾는다. → 3, 5, 7, 1, 2
  3. 큰 값과 작은 값의 순서를 서로 바꾼다.  3, 2, 7, 1, 5
  4. 계속 반복한다.   32, 7, 1, 5  32, 1, 7, 5
  5. 큰 값과 작은 값이 엇갈리는 상황이 발생한다.  3, 2, 17, 5
  6. 작은 값과 피벗값을 바꿔 준다.  1, 2, 3, 7, 5
  7. 3을 기준으로 왼쪽은 값이 작고, 오른쪽은 값이 크다.
  8. 왼쪽 집합과 오른쪽 집합을 나누어 피벗값을 설정하고 정렬을 반복한다.  1, 2, 37, 5
  9. 1, 2, 37, 5  1237, 5  1237, 5  1235, 7

 

시간 복잡도
평균 O(N * logN)
최악 O(N²)

1 2 3 4 5 → 5 * 5 = 25
6 7 8 9 10 → 5 * 5 = 25

코드를 깔끔하게 만들기 위하여 재귀함수를 이용한다

public class Main {

    private static int number = 10;
    private static int[] data = {1, 10, 6, 2, 9, 3, 7, 4, 5, 8};

    public static void quickSort(int[] data, int start, int end) {
        if (start >= end) { //원소가 1개일 때
            return;
        }

        int pivot = start; //pivot은 첫 번째 원소
        int i = start + 1;
        int j = end;
        int temp;

        while (i <= j) { //엇갈릴 때까지 반복
            while (i <= end && data[i] < data[pivot]) { //pivot 값보다 큰 값을 만날 때까지
                i++;
            }
            while (j > start && data[j] >= data[pivot]) { //pivot 값보다 작은 값을 만날 때까지
                j--;
            }
            if (i > j) { //현재 엇갈린 상태면 pivot 값과 교체
                temp = data[j];
                data[j] = data[pivot];
                data[pivot] = temp;
            } else { //pivot 값보다 큰 값과 작은 값을 찾았고, 엇갈리지 않았다면 서로 교체
                temp = data[i];
                data[i] = data[j];
                data[j] = temp;
            }
        }

        //재귀 함수
        quickSort(data, start, j - 1); //pivot 값과 j 위치의 값을 서로 바꿨으므로
        quickSort(data, j + 1, end);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quickSort(data, 0, number - 1);

        for(int i = 0; i < 10; i++) {
            System.out.printf("%d ", data[i]);
        }
    }
}

 


 

병합 정렬

 

'분할 정복' 방법을 채택한 알고리즘

피벗 값에 따라 편향되게 분할될 가능성 있었던 퀵 정렬과는 다르게
정확히 반을 나누기 때문에 시간 복잡도를 유지한다

일단 반으로 나누고 나중에 합쳐서 정렬한다!

너비가 8일 때 높이가 3이다 → log₂8 = 3 → 단계가 커질수록 2¹ 2² 2³ 처리 가능한 데이터가 아주 많아짐
이미 정렬된 데이터를 활용하므로 N을 보장한다

 

시간 복잡도
O(N * logN)

 

📚 Reference

댓글